2024.06.12 (수)

  • 맑음동두천 17.6℃
  • 맑음강릉 26.6℃
  • 맑음서울 20.4℃
  • 구름많음대전 20.4℃
  • 맑음대구 23.0℃
  • 맑음울산 21.7℃
  • 맑음창원 19.1℃
  • 맑음광주 20.5℃
  • 맑음부산 21.7℃
  • 맑음통영 18.2℃
  • 구름조금고창 18.0℃
  • 박무제주 19.7℃
  • 맑음진주 18.0℃
  • 맑음강화 15.6℃
  • 구름조금보은 17.9℃
  • 구름조금금산 17.1℃
  • 맑음김해시 20.7℃
  • 맑음북창원 21.2℃
  • 맑음양산시 20.5℃
  • 맑음강진군 17.9℃
  • 맑음의령군 20.2℃
  • 맑음함양군 18.9℃
  • 맑음경주시 20.7℃
  • 맑음거창 17.8℃
  • 구름조금합천 19.7℃
  • 맑음밀양 20.2℃
  • 맑음산청 19.4℃
  • 맑음거제 19.2℃
  • 맑음남해 19.3℃
기상청 제공

농촌진흥청, 새품종 육종에 필요한 우리 벼 품종 유전체 정보 공개

농촌진흥청, 한국 벼 105자원 유전체 정보 ‘나빅(NABIC)’에 공개

 

[경남도민뉴스] 농촌진흥청은 ‘참동진’ 등 육성 벼 85품종과 잡초벼 20자원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해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(NABIC) 누리집에 공개한다고 밝혔다.

 

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상 발생, 새로운 병해충 증가에 대응할 벼 신품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. 신품종 육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유전체 확보가 필수인데,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2015년 공개된 일본 벼 품종(니폰바레)의 유전체를 표준유전체로 사용하고 있다.

 

연구진은 다양한 벼 자원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‘참동진’을 비롯해 국내 육성 우수 벼 85품종과 국내 잡초벼 20자원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해 유전형을 분석했다.

 

그 결과, ‘참동진’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하고 염색체 양 끝에 자리한 텔로미어까지 분석해 표준유전체 정보를 확보했다. 이로써 ‘니폰바레’ 대신 국내 품종인 ‘참동진’의 표준유전체를 국내 벼 품종 육종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.

 

또한, 자원별로 최대 170만 개에 이르는 염기서열 변이를 찾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했다. 이 변이들은 수량성, 생육이 빠르고 늦은 정도, 마디 사이의 길이, 키, 영양성분 함량, 찰기, 병 저항성, 가뭄이나 고온 내성 등 다양한 형질과 연관성을 조사해 신품종 육종에 활용할 수 있다.

 

농촌진흥청은 이번에 확보한 105개 벼 자원의 유전체 정보를 국내외 벼 육종가, 유전자 기능 연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벼 유전자 기능연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.

 

농촌진흥청 유전체과 권수진 과장은 “이번 연구로 우리 벼 품종의 표준유전체를 비롯해 다양한 유전형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신품종 개발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.”라고 말했다.

포토뉴스



의료·보건·복지

더보기

오피니언

더보기

라이프·게시판

더보기